본문 바로가기
정보

윤석열 관련주 TOP 4 총정리!

by ★DR.김★ 2020. 11.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11월에 마지막 날 잘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재택근무로 인해 집에만 있으니 시간이 정말 안 가는 것 같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의 차기 대권주자 지지율이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제치고 2위까지 올라왔다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s://freelifefox.tistory.com/144

 

윤석열 지지율 변화 최신버전(11월 30일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 서울날씨가 영하권까지 내려가는 등 겨울이 성큼 앞으로 다가온 것 같습니다. 요즘 TV나 인터넷 기사를 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기사가 바로 '윤석열 검찰총장' 이야기입니다.

freelifefox.tistory.com

 

이번에는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윤석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윤석열 관련주

 

 

윤석열 관련주로 평가 받는 종목 중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4종목을 선정하였습니다.

 

 

서연

 


 

 첫번째 윤석열 관련주는 서연입니다. 서연은 자동차 내장부품과 금형, 차량 시트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지주회사입니다.

 

좌 : 서연 일봉, 우 : 서연 주봉

 

서연이 윤석열 관련주로 평가되는 이유는 유재만 사외이사와 윤석열 검찰총장이 서울대 법대 대학 동문이고 같은 서울 중앙지검 부장검사 출신이기 때문입니다.

 

차트를 보면 코로나 19로 인해 주가가 바닥을 쳤던 3월에 비해 7배 가까이 오른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최근 윤석열 총장 관련 이슈가 나올 때면 가장 큰 폭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영업이익이 -를 기록하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덕성


 

두번째로 윤석열 관련주는 덕성입니다. 덕성은 인조피혁, 합성수지, 화장품용 소재 등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덕성의 본사는 경기도 수원에 있으며 오산, 인천, 평택, 부산, 중국에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좌 : 덕성 일봉, 우 : 덕성 주봉

 

덕성의 이봉근 대표이사가 윤석열 총장과 대학 동문이기 때문에 윤석열 관련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차트를 보면 며칠 사이 등락이 매우 크게 나타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덕성도 서연과 마찬가지로 영업이익이 작년 기준 -를 기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진도


 

세번째 윤석열 관련주는 진도입니다. 진도는 국내 모피시장 1위 회사로 모피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좌 : 진도 일봉, 우 : 진도 주봉

 

진도가 윤석열 관련주로 언급된 이유는 아호봉 사외이사와 윤석열 총장이 사법연수원 동기이기 때문입니다. 

 

 

진도는 최근 코로나 19 여파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급감하였고 올해 영업이익은 적자로 나타났습니다. 기업 실적 대비 주가가 과대평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모베이스 전자


 

마지막 네번째 윤석열 관련주는 모베이스전자입니다. 모베이스전자는 자동차용 키세트, 스위치 등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입니다.

 

좌 : 모베이스전자 일봉, 우 : 모베이스전자 주봉

 

모베이스가 윤석열 관련주로 뽑힌 이유는 모베이스전자의 김병옥 사외이사가 윤석열 총장과 서울대 법대 동문이기 때문입니다.

 

모베이스 전자의 경우에는 앞선 세가지 종목에 비해 상승폭이 작은 편입니다. 

 

 

영업이익이 3년째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고 부채비율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테마주들은 등락폭이 크기 때문에 잘못하다가는 크게 물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윤석열 관련주라고 하지만 대부분 학교 동문이나 연수원 동기 등 인맥이 대부분이고 기업들의 실적이 대체적으로 좋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윤석열 관련주 투자는 개인의 선택이니 현명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윤석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윤석열 검찰총장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갈등이 심화되면 될수록 윤석열 검찰총장의 차기 대선 지지율과 관련주가 오르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검찰개혁으로 인한 갈등이 오히려 국민들에게 현 정부에 대한 반감을 더 키우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